일제강점기 때 사건들 이름 재규정 시발점으로 삼아

▲ 충남 천안시 유관순 열사 기념관에 설치된 유관순 열사 동상./사진제공=연합뉴스

[뉴스워치=김도형 기자] 정부와 여당이 3‧1운동 100주년인 올해 ‘역사전쟁’을 시작했다. 일제강점기 때 사건들을 부르는 이름부터 다시 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은 올해가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그동안 논란이 됐던 건국절에 마침표를 찍겠다는 계산이다. 이는 보수와 진보를 나누는 기준점 중 하나가 바로 일제강점기를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달려서다.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보수진영에서는 새로운 보수적 가치를 표방해야 한다면서 ‘뉴라이트’가 대두됐고 이명박․박근헤정부를 거치면서 건국절 논란으로 심화됐다.

뉴라이트는 건국절을 ‘1948년 8월 15일’로 판단한 반면 진보 진영은 건국절을 임시정부 수립일로 삼으면서 두 진영간의 역사적 이념 논쟁이 발발됐다.

역사적 이념 논쟁 끝내겠다는 정부와 여당

결국 정부와 여당은 역사적 이념 논쟁을 끝내고 건국절을 임시정부 수립일로 삼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이에 민주당 역사와 정의 특별위원회는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정청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나온 단어 중 가장 대표적인 단어가 ‘일제식민지’였다. 사람들이 ‘식민지’라고 부르는 것은 결국 ‘일본’을 기준점으로 해서 우리나라를 지배한 것이기 때문에 부적절한 단어이라면서 ‘일제강점기’라고 불러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다른 논란의 단어는 ‘강제징용’과 ‘징병’이었다. 징용이란 ‘국가의 권력으로 국민을 강제적으로 일정한 노역에 종사시키는 것’을 말하고 ‘징병’은 ‘병역’에 국한한 단어다.

결국 징용이나 징병 모두 ‘일본제국주의’를 ‘정상적인 국가’로 취급한 단어가 되기 때문에 사용이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이에 ‘수탈’ 등의 단어가 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3‧1운동을 ‘혁명’이라고 불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종걸 민주당 의원은 새로운 조선의 변동이었기에 혁명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3‧1운동이 ‘혁명’이 된 이유는 ‘대한제국’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전환하는 주요한 계기가 됐기 때문이다. 우리 역사에서 ‘민국(民國)’이란 표현을 사용한 것은 임시정부가 처음이어서 ‘혁명’이라고 불러도 된다는 주장이다.

건국절 논란이 최절정될 듯

가장 큰 역사적 논쟁은 아무래도 건국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1948년을 건국절로 볼 것인가 임시정부 수립일을 건국절로 볼 것인가의 논란이다.

다만 역사학계에서는 건국절 논란은 ‘정치적 이해득실’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역사학계에 맡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보수 정권에서 국정교과서 등을 통해 건국절 논란을 종식시키려고 했지만 결국 실패한 사례가 있듯이 진보 진영 역시 건국절 논란을 정치적인 잣대로 들이대려고 한다면 결국 실패할 수도 있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역사적 논란은 역사학계에 맡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은 지속적으로 3‧1운동 100주년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역사적 논쟁 속으로 뛰어들고 있다.

이번 기회에 논란을 확실하게 종식시키고 새로운 역사를 맞이하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더불어민주당 한 관계자는 “물론 보수정권과 같이 국정교과서 등을 만들어서 강제적으로 역사 주입을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지만 역사적 논쟁에서 정치가 개입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점차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